음..css 공부를 안하고 바로 프론트로 '공부하면서 프로젝트 해보지 뭐' 했다가 화면이 다 깨지는경험을 했다.
margin, padding 쓰지말고 display나 grid를 쓰라고하는데
그게 뭐지
display: flex
CSS의 속성 중 하나로, 해당 요소를 플렉스 컨테이너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. 이를 통해 자식 요소들을 플렉스 아이템으로 배치할 수 있다.
플렉스 컨테이너를 설정하면 해당 요소의 자식 요소들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치하고 정렬할 수 있으며, 플렉스 박스 레이아웃은 요소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정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.
justify-content
- flex-start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왼쪽으로 정렬합니다.
- flex-end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오른쪽으로 정렬합니다.
- center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가운데로 정렬합니다.
- space-between: 요소들 사이에 동일한 간격을 둡니다.
- space-around: 요소들 주위에 동일한 간격을 둡니다.
align-items
- flex-start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꼭대기로 정렬합니다.
- flex-end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바닥으로 정렬합니다.
- center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세로선 상의 가운데로 정렬합니다.
- baseline: 요소들을 컨테이너의 시작 위치에 정렬합니다.
- stretch: 요소들을 컨테이너에 맞도록 늘립니다.
flex-direction
- row: 요소들을 텍스트의 방향과 동일하게 정렬합니다.
- row-reverse: 요소들을 텍스트의 반대 방향으로 정렬합니다.
- column: 요소들을 위에서 아래로 정렬합니다.
- column-reverse: 요소들을 아래에서 위로 정렬합니다.
개념자체랑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알겠는데 손이 잘 안간다.
퍼블리셔를 하셨던 팀원이 나에게 개구리 문제를 풀어볼것을 추천하셨다.
바로 풀어보러 간다.
[Flexbox Froggy
A game for learning CSS flexbox
flexboxfroggy.com](https://flexboxfroggy.com/#ko)
2023-06-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