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(135)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크다운 문법 공부 1.제목 h1~h6는 제목을 표시한다. # h1 ## h2 ### h3 #### h4 ##### h5 ###### h6 h1 h2 h3 h4 h5 h6 2.인용 > # h1 인용문1111 인용문 2222 >> # h2 중첩 인용문1111 >>> ### h3 중첩 인용문 2222 출력 결과 h1 인용문1111 인용문 2222 h2 중첩 인용문1111 중첩 인용문 2222 3. 리스트 : *, +, - 모두 같은 모양으로 나온다 숫자는 숫자 + . (마침표)를 사용한다. 11111 22222 33333 리스트에서 이어지는 문단을 추가할때는 스페이스바를 입력하면 된다. ~ 리스트1 리스트1의 이어지는 문단 ~ 리스트1 리스트1의 이어지는 문단 4.코드블록 ```, ~~~를 첫줄과 마지막줄에 사용한다. 한글일때.. 프로그래밍과 컴퓨팅적 사고 1. 프로그래밍 컴퓨터에게 명령하기전에 문제(요구사항)를 명확히하고, 복잡한 과정을 단순한 과정으로 분해(decomposition), 자료를정리하여 구분(modeling)하여 순서를 정해주어야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프로그래밍이라 한다. 간단히 말하자면 - 프로그래밍의 목적은 문제해결이다. -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커뮤니케이션이다. - 0과1로 이루어진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작업이며, 그결과물이 코드이다. 이렇게 컴퓨터에게 문제를 해결하라 할 때, 컴퓨터의 입장에서 생각해야하는데 이를 컴퓨팅 사고라한다. 1. 컴퓨팅 사고 - 컴퓨팅적 사고는 컴퓨터 과학자뿐만이 아니라 누구나 배워서 활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사고이자 기술이다. - 컴퓨.. 개발자란 무엇일까 개발자가 하는 읽은 개발,코딩,프로그래밍이라고 들었다. 개발자를 시작하는 강의에서 항상 보이는 말이 "여러분은 개발자지, 코더가 아닙니다", "단순히 코드만 칠줄안다고해서 개발자로 인정받을수없다." 였다. '그럼 개발자가되려면 어떤일을 할 줄 알아야하는거지?'라는 생각이 들어 글로 적어보았다. 코딩? 코딩은 검은색의 창(터미널)에 영어와 숫자 기호들을 타이핑하여 만들어지는 소스코드들을 작성하는 단순한 작업이다. 코더는 이 코드를 작성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명령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을 말한다. 소스코드는 설계문, 명령문,주석으로 이루어져있다. 설계문: 어떤작업을 어떤순서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알려주는것. 명령문: 컴퓨터에게 지시를 내리는것. 주석: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.. 이전 1 ··· 9 10 11 12 다음